기사입력시간 25.05.15 07:07최종 업데이트 25.05.15 07:07

제보

의대교수협 "교육부, 의대 학사운영 간섭 중단해야…중요한 건 교육 질"

유급∙제적은 각 대학이 학칙 따라 자율적으로 판단하게 해야…학생 학습권 보호에 힘써달라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박민식 기자] 각 대학의 미복귀 의대생 유급∙제적 조치와 관련 의대 교수들은 “교육부는 무리한 강요와 압박을 통한 대학 학사운영 간섭을 즉시 중지하라”고 14일 밝혔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의대교수협)는 이날 발표한 성명서에서 “대학생의 유급 및 제적은 대학의 학칙에 따라 각 대학에서 자율적으로 판단하는 사안”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의대교수협은 “개별 대학 학사운영에 대한 겁박과 지나친 간섭은 사태 악화를 초래할 뿐”이라며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으면 편법적인 편입학으로 그 자리를 모두 채울 것이라고 협박하는 교육부와 대학 총장들은 의학 교육뿐 아니라 이공계 교육까지 파괴하려는 것인가”라고 했다.
 
이어 “작년부터 이어지는 보건복지부와 교육부의 강압적 행정 지도들은 ‘20세기 군부독재시대’로 돌아간 것이 아닌가 하는 착각마저 들게 한다”며 “교육부는 무리한 강요와 압박을 통한 대학 학사운영 간섭을 즉시 중지하고, 학생들의 학습권 보호를 위한 조처들에 힘써달라”고 덧붙였다.
 
의대교수협은 교육부는 최근 브리핑에서 내년 예과 1학년 교육에 어려움이 없고, 본과 3~4학년 임상실습과 전공의 수련을 지역의료원이나 지역 2차 병원에서 분담하면 된다고 발표한 데 대해서는 “중요한 건 교육의 질”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의대생들이 3차 의료기관 외에 1, 2차 의료기관에서 실습 경험을 갖는 것도 필요하다. 하지만 의대생 교육과 전공의 수련을 국립대병원, 살비의대부속병원 등 교육병원이나 수련병원에서 감당하지 못해 등떠밀리듯 지역의료원, 지역 2차 병원들이 주먹구구식으로 임상실습과 전공의 수련을 분담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이어 “미국, 일본 등에선 의대나 수련병원의 교육 여건이 뒷받침되지 않아 의대 입학정원을 줄이거나 아예 신입생 모집을 중단하기도 했다”며 “교육의 질이 관건이라는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대규모 증원시 교육병원들이 정상적 임상실습과 전공의 수련을 감당할 수 없단 걸 정부가 인정한 꼴”이라며 “의대생의 휴학 등이 없었다 해도 2~3배로 과도하게 증원된 대학들에선 제대로 교육할 여건이 안 된다”고 했다.
 
이어 “교육부는 잘못된 의대증원 정책을 고수하기 위해 땜질 처방으로 일관해 의대교육 현장을 파국으로 내몬 데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민식 기자 (mspark@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