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입력시간 18.11.26 11:57최종 업데이트 18.11.26 11:57

제보

알레르기비염, 나이 어릴수록 '알레르기면역' 검사 필요

인하대병원 환경보건센터, '알레르기비염 진단 정확성 규명 연구' 발표

인하대병원 전경.
인하대병원 환경보건센터는 최근 국제 학술지 '환경연구 및 공중보건회(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에 나이가 어릴수록 질환과의 구별 위해 알레르기면역 검사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 결과 국제 소아천식 및 알레르기질환 역학조사(ISAAC) 설문지 문항 중 알레르기비염 증상이 있다고 응답한 소아청소년 6~16세의 알레르기비염 유병률은 설문지의 증상 양성과 피부반응검사 양성을 모두 만족한 알레르기비염 유병률 보다 약 2배 많았다. 알레르기비염 증상이 있을 때 실제로 알레르기비염일 가능성은 유치원생의 경우 약 25%, 중·고등학생의 경우 약 50%였다. 이번 연구는 환경부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연구팀은 "소아청소년에서 알레르기비염 증상이 있어도 증상만으로는 알레르기비염이라고 진단하기 어렵다. 특히 나이가 어릴수록 알레르기비염과 증상이 유사한 여러 질환들과의 구별이 쉽지 않아 알레르기비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알레르기면역 검사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한 최근 12개월 이내 알레르기비염 증상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 비율은 전체 조사대상자 중 44%였으나, 최근 12개월 이내에 치료를 받았다고 응답한 학생 비율은 약 22%였다. 최근 12개월 내 알레르기비염의 증상이 있는 학생의 절반은 치료 경험이 없어 비염 증상이 있는 소아청소년이 보다 적절하게 치료 관리를 받아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인하대병원 환경보건센터 김정희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설문지 조사에 추가적으로 알레르기 진단의 가장 중요한 검사인 피부반응검사를 함께 분석한 결과라는데 의의가 있다"며 "국내 알레르기질환의 정확한 모니터링을 통해 알레르기질환 발병에 관여하는 환경, 유전 요인 간 상호작용 규명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메디게이트뉴스 (news@medigatenews.com)
댓글보기(0)

전체 뉴스 순위

칼럼/MG툰

English News

전체보기

유튜브

전체보기

사람들

이 게시글의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