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단순 지방세포 과잉 아닌, 뇌·대사·면역 악영향…코로나 감염·중증도↑
메이요 윤창호 연구원 "고렙틴혈증, 인슐린 저항성 촉진, ACE2 발현 증가, 비정상 단백질 접합 등 특성 때문"
[메디게이트뉴스 서민지 기자] 비만이 코로나19 감염시 중증도를 높이고 합병증 발병률, 사망률 증가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이는 비만의 렙틴 저항성에 의한 면역체계 조절, 인슐린 저항성 촉진, ACE2 발현 증가, 비정상 단백질 접합 등의 특성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메이요클리닉 윤창호 연구원은 최근 'COVID-19의 위험인자인 비만'을 주제로 한 한인과학기술자네트워크(KOSEN)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발열, 기침, 근육통, 피로를 유발하며, 고염증, 사이토카인 폭풍,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COVID 관련 응고병증(CAC)으로 발전할 수 있다. 중환자실에 도착하는 코로나19 중증환자 중 상당수가 과체중이거나 비만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비만은 흡연, 고령, 제2형 당뇨병, 심혈관질환과 함께 심각한 코로나 합병증·사망률 증가의 주요 위험 요소(risk factor)로 알려져 있다. 윤 연구원은 "비만의 특징인 만성염증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