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 함께 김영배 원장(사진)은 "국립중앙의료원이 실시한 2015년도 의료취약지 모니터링 연구에 따르면 지방의료원이 필요한 전문의는 220명으로, 현재 예산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26명의 지방의료원 원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공공병원 파견 의료인력 지원 사업에 예산 증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81%가 그렇다고 답했으며, 의료인력을 파견하는 대학병원에 혜택을 줘야 한다는 의견도 81%에 달했다.
이외에도 김 원장은 전문의 배출시기가 3월이지만 복지부의 해당 파견사업이 1월부터 시작돼 기간이 상이한 점, 파견기관에 인력이 있어도 근본적으로 지방 근무를 기피하는 점, 신경과·응급의학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등의 수급이 어려운 문제 등을 해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워크숍에서는 정부가 지방의료원을 공공성보다는 수익성으로 내몰고 있는 현실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보건의료산업노조 나영명 정책실장은 "정부는 지방의료원에 경영성과계약제, 성과연봉제, 인건비 축소, 보수 삭감, 지원금 중단 등의 정책을 펴고, 감사원 감사와 행정사무감사, 경영진단, 운영평가 등을 통해 압박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복지부 공공의료과 임혜성 과장은 "복지부는 높은 의료 수준을 가진 대학병원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교육부보다 복지부가 더 많은 지원을 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한계는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임혜성 과장은 국립대병원 소관을 교육부에서 복지부로 이관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각 부처와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