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대선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의사들의 표심이 어디로 향할지 주목된다.
현재 여러 의사단체에서 각기 다른 대선후보 지지 선언을 한 상태이며, 누가 대통령이 되느냐에 따라 보건의료정책 기조가 크게 달라질 수 있어 고심하는 의사들도 적지 않다.
지난달 28일 전국 시도의사회 임원 및 회원 1300여명은 올바른 의료 환경과 전문가의 자율성을 보장할 수 있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다고 공개 선언했다.
이날 대표로 나선 이광래 인천시의사회장은 "의사들은 국민뿐 아니라 의료인으로서 정부 주도의 비합리적인 보건의료정책과 현안으로 고통 받았다"면서 "문재인 후보가 잘못된 보건의료정책에 귀 기울이고 함께 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생각한다"고 지지를 보냈다.
특히 이광래 회장은 의료전달체계 확립, 일차의료육성 및 지원특별법 제정, 건강보험문제 개선, 노인외래정액제 문제 해결 등의 보건의료공약을 민주당에서 수용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지난 2일 전국 의사 2407명도 문재인 후보를 지지한다고 공식 선언했다.
이들은 노인요양병원협회, 중소병원협회, 각과개원의협의회, 각 시도의사회 등에서 모인 의사들로, 국민을 위한 의료 환경 정립과 소신진료를 위해서는 문재인 후보가 대통령이 돼야 한다고 선언했다.
더불어의료포럼 조인성 대표는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는 전국 의사들은 일치감치 더불어의료포럼을 결성해 환자와 국민을 위한 올바른 의료정책을 제안해 왔다"면서 "문 후보는 의료를 이해하고 국민의 건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분"이라고 소개했다.
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저부담, 저수가를 적정부담, 적정수가로 전환 ▲민간실손보험 합리적 규제 ▲재난적 의료비 제도 도입 등을 공약으로 제시하고 있다.
반면 의사 143명은 의사 출신인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를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광주·전남 지역 의사들이 중심으로, 지난달 26일 광주시의사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안철수 후보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안철수 후보의 주요 공약으로는 비급여 단계적 급여화, 단골의사제 도입, 노인외래정액제→정률제로 전환, 건강보험 사각지대 해소, 임신·출산진료비 본인부담금 전액 무료 등이 있다.
안 후보를 지지하는 의사들은 "안철수 후보가 공약한 국가 보건의료시스템 개편,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의료민영화 반대 등은 공공성과 일차의료를 강화하겠다는 것으로 지극히 합리적"이라면서 "4차 산업혁명을 대비하기 위해 보건복지 분야 과학인재를 육성하고 보건의료인력을 확충하겠다는 공약 역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타당하다"고 밝혔다.
반면 전의총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 지지 입장을 표명했다.
지난 3일 전의총은 지지 선언을 통해 "홍준표 후보는 작은 정부 지향, 각종 규제 개혁, 선별적 복지, 국가 안보 중시, 강성귀족노조 혁파 등 자유주의와 보수우파의 이념에 가장 충실한 후보로서 대한민국을 재도약 시킬 수 있는 가장 적임자"라고 단언했다.
전의총은 "이번 19대 대선에서 홍준표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된다면 전의총과 자유한국당 간 의료정책협의를 위한 상설 '의료정책협의체'를 구성키로 합의했다"면서 "자유한국당 소속 보건복지위원회 위원 1인과 전의총 집행부 소속 1인을 공동위원장으로 해 국민 건강을 증진시키고 생명을 살리는 숭고한 사업에 뜻을 함께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전의총 일부 회원들은 집행부가 회원들의 의견도 수렴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자유한국당 지지를 선언해 용납할 수 없다며 탈퇴하는 사례가 속출하기도 했다.
전의총 회원이었던 개원의 A씨는 "회원들의 뜻도 묻지 않고 오로지 상임운영위원회 의결로 홍준표 후보에게 7천 여명의 전의총 회원명단을 상납한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면서 "이는 상임대표의 정치적 성향이 반영된 급조된 의결"이라고 비난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