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계는 복지부에 섭섭하게 생각한다. 병원도 환자와 원격의료를 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
의사-환자간 원격의료에 대해 대한의사협회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는 반면 대한병원협회는 동네의원 중심으로 원격의료를 실시하겠다는 복지부의 입장에 대해 서운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대한병원협회 이송 부회장은 17일 병원협회가 주최한 Korea healthcare congress 국제학술대회 '정책과 의료: 국가 정책에서 의료의 역할' 세션에서 "원격의료에 대한 필요성과 연구가 이뤄지며 그 실현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병원계는 복지부에 섭섭하게 생각한다"면서 "병원도 환자와 원격의료를 할 수 있게끔 해야 한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동네의원 중심으로 원격의료를 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의사협회는 원격의료를 시행하면 대형병원 쏠림현상 및 의료 영리화가 될 것이라고 경고하며 강하게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송 부회장의 발언은 원격의료에 대해 의사협회와 병원협회가 상반된 입장이라는 점을 잘 보여준다.
다만 이송 부회장은 "병원이 환자와 원격의료를 하게 되면 시설이나 장비 면에서 우월해 훨씬 더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보니 복지부가 개원의 중심으로 시작하겠다는 입장인데 이에 동의한다"면서 "원격의료가 충분히 연습이 되고 난 후에는 병원도 같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원격의료도 의료전달의 흐름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며, 병원도 쉽고 편리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패널로 참석한 복지부 의료기관정책과 정영훈 과장은 "원격의료는 동네의원 중심으로 실시할 예정이며, 그 필요성을 가지고 국민을 위해 세부적으로 논의했으면 좋겠다"고 설명했지만 병협의 주장에는 별다른 언급은 하지 않았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김형수 실장은 원격의료를 놓고 "취지에 대해서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기술이 발달해 산업화를 뒤따라가는 모양새로 봐서는 안된다"며 "여건을 갖추고, 진짜 해야 한다면 의협과 파트너로서 원점에서 다시 출발해야 한다"고 단언했다.
그러나 새누리당 보건복지위원회 이영호 수석전문위원은 "원격의료에 대한 의료계의 우려가 지나치다"면서 "원격의료가 여러 가지 과정을 거쳐 접근성을 높이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만큼 어떻게 하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지 실질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조원준 보건의료전문위원은 "2년간 야당의 반대를 무릅쓰고 시범사업을 진행했지만 기본적인 안전성과 효과성을 입증하지 못했다"면서 "현행 의료법 안에서 충분히 원격의료가 가능하며, 원격의료 예산을 복지부가 아닌 미래부나 다른 부처에서 집행하는 것을 보면 시장 창출에만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반대의 입장을 내비췄다. ⓒ메디게이트뉴스 의협 의료정책연구소 김형수 실장(좌), 대한병원협회 이송 부회장(우)
이 날 학술대회에서 의사협회와 병원협회는 원격의료 이외의 사안에서도 뚜렷한 시각차를 보였다.
의사협회는 병원협회와 큰 틀에서 방향성을 같이 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지만 병협의 생각은 달랐다.
김형수 실장은 "의사협회는 의사의 이익을 대변하는 단체로서, 병원도 봉직의나 기관장 등 여러 의사들이 있는 집단인 만큼 흐름을 같이 가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달리 이송 부회장은 "병원 입장에서 보면 전체 직원에서 의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10%도 되지 않는다"면서 "전체를 끌고 가야 하는 병원의 입장에서는 의사 직능에 치우칠 수 없으며, 병원 유지와 고용 안정과 같은 경영을 바라봐야 한다"고 말해 견해차를 드러냈다.
이송 부회장은 "의협은 거의 개원의들의 의견을 반영하지만 병원은 국가 보건체제를 중심으로 많은 고용(인원)을 끌고 가야 하기 때문에 기능과 견해가 다르다"고 선을 그었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