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게이트뉴스 이지원 기자] 부광약품이 1분기 실적 반등과 수익성 회복을 달성했다.
부광약품은 22일 '2025년 1분기 실적발표회'를 개최해 1분기 실적과 2분기 사업전략을 발표했다.
연결기준 올해 1분기 매출은 478억원, 영업이익은 301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9.0%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했다. 별도기준으로 살펴보면 매출 438억원, 영업이익 59억원으로, 각각 28.9%, 188.1% 상승했다.
부광약품은 실적 개선 요인으로 당뇨병성 신경병증 치료제 '덱시드'와 '차옥타시드' 등 주요 제품의 성장을 꼽았다. 실제로 덱시드와 파옥타시드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4% 증가했다.
부광약품 관계자는 "중추신경계(CNS) 전략 제품군 전체로는 전년 동기 대비 17%의 실적 성장률을 기록하며, 시장 평균 성장률인 3%를 크게 상회했다"며 "올해 1분기 실적 반등과 수익성 회복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이 대표는 2분기 사업전략을 발표하며, CNS 부문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신과 분야에서는 주요 학술대회 참여를 통해 항정신병 치료제인 '라투다'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처방 확대를 유도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신경과 분야에서는 치매복합제인 '아리플러스'를 새롭게 출시하며, 제품의 특장점을 중심으로 한 타겟 마케팅을 통해 시장 내 빠른 안착을 목표한다"며 "이 외에도 하반기에 레가덱스, 부디앙 등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덱시드와 차옥타시드의 처방 성장을 위해 집중적인 영업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라며 "이를 위해 본부별 심포지엄을 운영하고, 집중 영업 캠페인을 함께 추진해 의료진과의 접점을 확대하고, 제품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부광약품은 3월 28일 1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했다.
부광약품 관계자는 "지난해 불확실한 대내외 환경 속에서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3년만에 흑자전환을 이뤘다. 하지만 당사의 생산능력이 시장 수요에 미치지 못해 공급 불안정을 초래했고, 이로 인해 처방 성장이 정체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은 기존 제조설비 확장, 신규 제조설비 취득 등에 투자해 생산 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라며 "퇴장방지 의약품을 비롯한 필수의약품을 다수 생산하는 만큼 국민 건강증진을 위한 생산능력 확장 전략은 필수적"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전략적인 투자를 통해 제조 역량 확보 외에도 자체 연구개발 활성화를 계획하고 있다"며 "특히 고부가가치 의약품 개발과 이를 통한 수익 창출을 목표로 시장성과 기술력을 겸비한 파이프라인 구축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댓글보기(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