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보건의료 대책, 가급적 집에서 지낼 수 있도록 도와야
[칼럼] 정명관 가정의학과 전문의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메디게이트뉴스 정명관 칼럼니스트] 한국은 2017년에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14%를 넘어서 고령사회가 됐다. 10년 후에는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가 된다. 14%의 노인이 전체 의료비의 36%를 지출했으니, 앞으로 노인 의료비는 전체 의료비 증가 속도보다 더 빠르게 늘어날 전망이다. 노인 의료의 특징은 60%의 노인이 3개 이상의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데서 알 수 있다. 복합만성질환자가 많고 뚜렷한 질환이 없더라도 보호가 필요하다. 질병으로 발전하지 않도록 관리가 필요한 노쇠 현상이 많다. 노인 보건의료의 핵심은 첫째, 건강한 노인이 자신의 집과 동네에서 가능한 한 오래 지낼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둘째, 복합만성질환을 앓는 노인이 이 병원, 저 병원 다니면서 질병 중심의 분절적인 치료를 받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셋째,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무조건 병원으로 오게 하거나 시설에 수용하지 않고 지역사회에서 돌볼 수 있는 시스템을 마